- 첫 화면
- 사업안내
- 도시재생 사업연혁
도시재생 사업연혁
도시재생이란?
인구의 감소, 산업구조의 변화,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 주거환경의 노후화 등으로 쇠퇴하는 도시를 지역역량의 강화, 새로운 기능의 도입·창출 및 지역자원의 활용을 통하여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말함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 2조)
부산의 도시재생 추진배경
[도시관리 패러다임 변화]
도시관리에 있어 물리적 측면뿐 아니라 사회적·경제적 측면을 통합적이고 균형 있게 고려한 도시재생으로 인식 전환
☞ 종전의 택지개발 및 재개발 등과 같이 도시 및 주거 환경을 개선하는데 초점을 맞춘 하향식 도시개발에서 벗어나 지역주민 참여를 통한 사람중심의 상향식개발로 도시민의 주거환경개선, 기반시설 정비 등 물리적 환경개선 뿐 아니라 일자리·교육·보건·생활안전 등 지역주민의 관심사를 고민하는 방식의 사회·문화적 통합재생방식으로의 도시재생 차원의 패러다임으로 전환

[도시외곽지역 개발 및 공동화 심화]
☞
급속한 도시화와 도시의 외연적 확산에 따른 기존 도심의 경제쇠퇴와 물리적 환경의 노후화, 도시기반시설의 부족 등 시민의 삶의 질 저하 및 공
동화 심화
☞
부산광역시의 도심은 한국전쟁으로 인한 피난민 밀집주거지로 난개발과, 60~70년대 강제철거 이주를 위한 정책이주지 조성,
공공영구임대아파트 정책 등으로 도심의 급속한 쇠퇴
☞
인구와 산업의 계속적인 집중으로 인한 도심지 고밀화 현상이 발생하였고, 자연적․ 물리적 공간한계와 성장억제정책 등으로 점차
시외곽지역으로 공간 확산이 이루어져 도시기능도 분산되어 중심지와 외곽지간의 상호의존관계 심화
☞
공급위주의 주택공급정책으로 기존 도심의 저소득층 거주민 소외 및 개발중심의 도시외곽지역 중심개발로 도심공동화가 심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도시재생 및 활성화 방안 필요]
-
- ☞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시행(2013.12.5.)에 따른 부산광역시의 지역적 여건 및 특성에 맞는 도시재생 비전·목표·추진전략 필요
- ☞ 다복동 패키지 사업, 도시재생 뉴딜사업, 행복마을 만들기, 부산역 창조경제플랫폼, 산복도로르네상스사업, 강동권 창조도시 조성사업 등 기 시행중인 다양한 도시재생사업과 연계하고 부산광역시의 생활여건에 맞추어 도시재생 활성화 및 도시경쟁력 제고, 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종합적·체계적인 도시재생전략계획 수립 필요
- ☞ 원주민의 지역공동체 해체 등 도시문제가 심화됨에 따라 주민이 참여하는 지역거버넌스 구축 및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전략 필요
도시재생사업 연혁
-
[2010년 부산광역시내 창조도시본부 신설 후 “산복도로 르네상스”, “행복마을”, “커뮤니티 뉴딜”, “도시활력증진사업”, “희망마을”, “좋은마을”, “건강마을” 다양한 도시재생사업 전개]
- ☞ 2013년 국민대통합 지역박람회 “지역발전대상” 수상
- ☞ 2014년 국정과제 “지역공동체[ 확립”을 위한 시민통합모델로 주목
- ☞ 2014년 메트로폴리스 1위, 세계적 도시재생 모델로 공인
- [2015년 "부산광역시도시재생지원센터" 설립 후 공공과 주민의 중간지원조직체계 구축으로 도시재생사업의 원활화 유도]
- ☞ (재)부산광역시도시재생지원센터 설립으로 다양한 SW, HW사업 추진
- ☞ 공동체 활성화 및 도시재생사업 기반구축, 주민소통 활성화 등 다양한 사업 추진
- [국가정책인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적극적 대처]
-
☞ 총11개의 지역에서 "도시재생 뉴딜사업"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