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첫 화면
  • 홍보마당
  • 영상자료

영상자료

[메이커스테이션] 왕초보를 위한 소잉메이커 1강

  • 작성자 관리자
  • 작성일 2021-01-18
자막
[자막 : 내손내만! 소잉 메이커 1탄 메이커스테이션에서 내가 만들면 작품이 되는 마법] (배경음악) [자막 : 메이커 스테이션 왕초보를 위한 옷만들기 소잉메이커] [자막: 부산유라시아플랫폼 메이커스테이션으로 오시면 더 많은 수강&체험이 가능합니다!] (배경음악) 강사 조현심: 안녕하세요~, 부산광역시 도시재생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메이커스테이션입니다. 소잉메이커 과정 중 왕초보를 위한 옷 만들기 과정을 진행 할 조현심이라고 합니다. [자막: 강사 조현심] 강사 조현심: 옷을 만들기 위해서는 본인의 기본형 패턴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기본형을 그리는 것에 대해서 천천히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천천히 잘 보고 따라하시면 쉽게 따라 오시실 수 있도록 수업을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배경음악) [자막 : 오늘의 준비물 방안자 곡자 물방울자 운형자 전지, 연필] (효과음) [자막: 오늘 할 것 여성 55사이즈 기준 기본형 패턴그리기(길 원형 뜨기)] 강사 조현심: 오늘은 옷 만들기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길 원형을 떠 보기로 할 텐데요. 길 원형을 뜨기 위해서는 인체가 어떻게 생겼는지를 한번 관찰하시고 난 다음 하시는게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 같아서 미니 바디로 설명을 하면서 제가 패턴을 그리도록 하겠습니다. 자, 사람의 몸은 좌우대칭이 됩니다. 그래서 패턴을 뜰 때는 한 판을 다 뜨는게 아니라 1/4쪽 씩 앞 판의 반쪽, 요만큼을 뜰 거고요. 그 다음에 뒷 판의 반 쪽 요만큼씩 1/4을 뜰거 거든요. 그래서 필요한 치수들이 지금 이제 가슴둘레라든지, 허리둘레라든지 이런 필요한 치수들이 있는데 체촌하는 방법도 제가 간단하게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자, 등길이 제일 패턴에서 기준선이 되는게 등길이 인데 등길이는 (오른쪽 예시) 뒷 목점, 뒷 목뼈 있는데서 부터 허리까지의 길이를 등길이라고 하거든요. 그러면 이 길이를 이렇게 재 주시면 됩니다. 등길이 그 다음 가슴둘레 가슴둘레도 겨드랑이를 지나는 점을 해서 가장 높은 곳을 지나는 이 둘레를 가슴둘레로 재 주시면 되고요. 그 다음 허리둘레를 재 주시면 됩니다. 그 다음 또 패턴에서 가장 필요한 것이 뭐냐하면 ‘진동깊이’라고 하는 것인데 이 진동 깊이는 겨드랑이에서 어깨와 팔이 들어가는 이 위치, 이 위치를 진동 깊이라고 합니다. 표준 사이즈로 해서 한 21cm정도로 잡고 그냥 공통으로 사용하는 치수가 가장 편안하거든요. 그 다음 등품 등품이라고 하는 것은 옆의 둘레를 뺀 앞에서 보여 지는 평면되는 부분 이 부분이 등품이거든요. 등에 딱 기댔을 때 벽에 닿는 부분이겠죠. 이 등품의 치수가 필요하고 등품이 필요했기 때문에 앞품 역시도 필요합니다. 옆구리의 사이즈를 뺀 이 평명의 사이즈를 재 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측정을 해 주시고요. 자 이제 기준선이 되는 등선부터 그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보통 등길이라고 하면 개인의 사이즈 보다는 표준 사이즈로 등길이를 하시 는게 제일 적당하거든요. 보통 여성의 경우 38cm 정도가 적당한 사이즈가 되겠습니다. 그러면 세로로 등선 뒷 중심선이라고 하는 등길이 선을 쭉 그어주시면 됩니다. (오른쪽 예시 38cm) 38cm가 되는 곳에 포인트를 찍으시고요. 그 다음 아까 진동 깊이 진동 깊이도 대중적인 사이즈로 21cm로 정해져 있는 사이즈 사용하시면 되거든요. 그러면 뒷 목에서 21cm에 포인트를 찍어주시면 됩니다. (오른쪽 예시 21cm) 가로선을 쭉 연장을 해주시면 됩니다. 지금 이 선을 연장하는 이유는 앞 판이랑 같이 쓸거기 때문에 한번 그은 선가지고 앞판도 같이 뜰겁니다. 그래서 쭉 연장해주시는게 좋습니다. (줄을 긋는 모습) (오른쪽 예시 진동 깊이 등길이) 그 다음 이 중간의 진동 깊이에서 온 선 진동 깊이에서 둘러온 선 가슴둘레를 말하는 거겠죠. 그러면 이 라인은 바스트 라인 그 다음 이것은 허리라인이 되겠습니다. 이 선이 바로 밑에 그은 선입니다. 아까 가슴둘레가 84cm로 저는 시작할 겁니다. 1/4쪽을 뜨기 때문에 1/4바스트를 써야 되겠죠. 그러면 21cm가 됩니다. [자막: 84/4=21] 21cm에 +2cm 여유분 2cm를 둬야지만 움직일 수 있는 폭이 생기니까요. 그러면 23cm 23cm 포인트를 찍으시고 (오른쪽 예시) 허리선에 23cm 포인트를 찍으십니다. 그 다음 직각으로 내려주시고요. (오른쪽 예시) 바스트 라인과 허리라인이 정해졌습니다. 그 다음에 등품을 사용할 겁니다. 이 부분이거든요. 그러면 1/2 등품 여기서 보면 등품이 36cm(표준사이즈) 반은 18cm입니다. 18cm를 그어주겠습니다. (오른쪽 예시) 위로도 18cm 해서 직선으로 쭉 내려주겠습니다. 그 다음 해야 될게 목둘레를 그려줘야 돼요. 목둘레는 여기 목뼈 있는데서 옆목점까지 해서 뱅 돌아가는 이 선을 말합니다. 이 선을 지금 여기에다 그려줄텐데요. (왼쪽 예시) 사람이 앞으로 이렇게 이렇게 움직이기 때문에 등판이 이렇게 앞판을 감싸주는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뒷판이 앞판보다 커야 돼요. 그래서 뒷목을 하실때에는 B/12로 (*B:가슴둘레) 치수를 사용을 하는데 뒷 목에만 B/12+0.5cm를 더해줍니다. 왜? 앞판과 사이즈를 조금 차이를 두기 위해서 조금 크게 하기 위해서 그래서 B/12하면 7cm [자막: 84/12=7] 근데 0.5cm를 더해야 되니까 7.5cm 포인트를 찍고요 (예시) 여기에서 삼등분을 해줍니다. 그럼 2.5cm 씩 되겠죠 (예시) 삼등분을 한 이 한 칸을 위로 올려줍니다. 직각으로 위로 올려서 2.5cm를 올려주면 여기에 옆 목점이 나오게 되는 겁니다. 여기에 옆목점 옆목선을 했으면 어깨선을 찾아줘야 되는데요. 사람이 사선이잖아요. 약간의 사선의 형태를 두고 있는 어깨선을 찾아야하기 때문에 아까 진동 폭에서 올렸던 이 선 이 선을 기준으로해서 1cm 내려옵니다. (오른쪽 예시) 1cm 내려온 점에서 옆목점과 1cm 내려온 이 점을 연장해서 쭉 그려줍니다. 그 다음 어깨 넓이가 얼만큼 되는지 모르니까 제가 체촌해 놓은 거에는 어깨 넓이가 38cm입니다. 어깨/2 하면 19cmrk 되겠죠. 그러면 등 중심에서, 뒷 중심에서 (오른쪽 예시) 19cm 되는 점에 포인트를 찍습니다. 이 점이 어깨 넓이가 되는 거겠죠. 제가 이걸 별이라고 표시를 해 놓을게요. 진동의 곡선이 필요하게 되겠죠. 여기 지금 진동폭 해놓은 애깨점 1cm 내려온 이 점에서 바스트라인 까지 2등분 해주시면 됩니다. (오른쪽 예시) 거의 10cm 정도 되겠네요. 이등분을 한 점과 바스트 라인에서 끝난 이 점 이 점과 사선으로 이어줍니다. (오른쪽 예시) 그 다음 이어주고 사선과 이은 이점을 직각으로 (오른쪽 예시) 또 다시 이 교차점에 선을 찾아서 2등분을 해주시면 됩니다. (오른쪽 예시) 2등분을 한 점에서 0.5cm 바깥으로 나갑니다. 0.5cm (화면전환) [그래픽 예시] 강사 조현심: 이 점과 이 점과 이 점을 연결을 하면 진동선이 나오는데 (화면전환) 강사 조현심: 지금 복잡하게 왜 사선으로 긋고 또 거기에서 직각으로 내려오고 0.5cm를 올리느냐 이건 곡선이 적당한 곡선이 나오기 위한 기준점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거든요. 여기서 만약에 ‘무조건 곡선으로 돌리세요.’라고 하면 사람마다 이렇게 그리는 곡선이 있을 것이고 또 바깥으로 이렇게 나가는 곡선을 그릴 수도 있기 때문에 최대한 적정한 선을 찾아서 수치상으로 표현을 한 겁니다. 이건 정답이라고 할 순 없지만 그냥 근사치에 맞게끔 설명 드리기 위해서 이런 과정을 거치는 겁니다. 목점에 라운드를 안 그렸는데 이것도 곡자를 쓰실 때 곡자 끝이 곡이 이 사각 박스 선을 넘어서면 안돼요. 기초선에서 벗어나지 않게끔 (자료화면) 자가 기초선 안에 들어가게끔 자를 놓고 곡선을 그어주시면 됩니다. 이러면 목둘레선 나왔고요. 그 다음에 이제 해야 될 건 다트 부분이 들어가야 됩니다. 허리라인은 가슴둘레에서 쭉 내려온 선이기 때문에 허리쪽으로는 커지겠죠 그러면 허리라인도 맞춰야 되니까 허리가 아까 68cm(표준사이즈)였습니다. 이 68cm를 4등분하면 17cm입니다. 17cm를 또 여기에서 여유를 2cm를 두겠습니다. (자료화면 17cm+2cm) 그러면 19cm가 허리라인이 되겠죠. (효과음 1.5cm) 옆 선에서 1.5cm들어간 곳 허리선 잘록하게 보이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화면전환) 강사 조현심: 그러면 나머지 2.5cm 정도가 남게 돼요. 그럼 2.5cm 남는 분량을 다트로 넣어주게 되겠습니다. 다트선은 등품에서 반(1/2)되는 지점 (오른쪽 예시)18cm니까 9cm가 반이겠죠. 반되는 점을 직각으로 내리시고 여기에서 아까 2.5cm가 남았으니까 (오른쪽 예시)1.25씩 양쪽으로 보내주면 다트를 만들어주게 되면 허리선이 잘록하게 들어가는 패턴이 완성이 되는 것이겠죠. (효과음 및 뒷판 예시) 이렇게 하면 지금 뒷판이 완성되었습니다. 다트 넣었고, 진동선 예쁘게 그려줬고 그 다음 앞판을 그리도록 할텐데요 앞판도 제가 아까 연장선을 길게 쭉 연결하라고 말씀드린 것도 마찬가지로 지금 바스트라인, 목점하고는 다 그대로 쓸 거기 때문에 연장을 해달라고 말씀을 드렸습니다. 그래서 가슴둘레에서 여유분 2cm를 포함하면 23cm였죠. (왼쪽 예시) 23cm를 앞으로 나갑니다. 밑에도 23cm (자료화면) 이 점을 길게 쭉 이으면 앞 중심선이 되겠죠. 여기 앞 목점에서 (왼쪽예시) 쭉쭉쭉 내려간 이 선 앞 중심선에서 지금 목선이 들어가야 되겠죠. 여기 목을 파야되니까 아까 목은 B/12였습니다.(*B: 가슴둘레) 뒷 판은 여기에다 0.5cm를 더했어요. 그건 뒷 판이 더 커지게 하기 위해서 0.5cm를 더 했거든요. 그러면 B/12, 7cm (왼쪽 예시) 양쪽으로 표시를 합니다. 그 다음 직각되는 사각박스를 정 사각박스를 하나 그려주시면 됩니다. 사선으로 그러 줍니다. 이 사선을 삼등분 (왼쪽 예시) 그러면 3.3cm정도 되겠네요. 이 작업을 하는 것도 곡선이 내가 곡선을 그리세요. 하면 무조건 그냥, 그냥 이렇게 그리는 사람이 있을 것이고 이렇게 그리는 사람이 있을거 잖아요. 그걸 막기 위해서 기준점을 찾기 위해서 그냥 이건 ‘대각선으로 그러서 삼등분하세요.’ ‘삼등분점을 지나세요.’라고 말씀을 드리는 겁니다. 여기 이렇게 해서 목선도 (자료화면) 지나는 점들을 연결하시면 목선이 되겠습니다. (화면전환) 강사 조현심: 그 다음 필요한게 아까 이쪽 할 때 등품이 필요했었습니다. 지금은 앞 판을 그려 줄 거니까 앞품이 필요하겠죠. 앞품은 지금 34cm입니다. 34cm인데 1/2 앞품이니까 17cm. (왼쪽 예시) 17cm 되는 점을 이어주십니다. 직각으로 위로 쭉 이어주시고 어깨선을 찾아야 되는데 지금 앞판이 더 작아야 된다고 말씀을 드렸습니다. 뒷 판보다 그렇기 위해서 (자료화면) 3.5cm를 내려와서 어깨점을 지나도록 하겠습니다. 아까 별 어깨길이가 나왔죠. 이 별을 요대로 다시 옮겨주시면 됩니다. 12cm 정도 되거든요 그러면 여기 옆 목점이랑 12cm되는 점 (왼쪽 예시) 3.5cm 내린 이 점을 지나서 12cm 되는 점 여기까지가 어깨선이 되겠습니다. 그 다음 이것처럼 진동라인을 그려야 되는데 뒷판 보다 앞판의 진동라인이 좀 더 곡선이 지는 곡이 지는 선을 그려야 되거든요 왜 그러냐하면 사람이 팔을 요렇게 움직이고 앞에서 계속 움직이기 때문에 여기가 직선으로 떨어지면 겨드랑이가 좁아서 불편해요. 그래서 뒷판 보다 좀 더 많은 곡선이 파지는 선이 필요하거든요. 그래서 이것은 삼등분 아까 뒷판은 이등분을 해서 진동선을 그렸죠. 앞판은 삼등분을 합니다. (왼쪽 예시) 삼등분을 하게 되면 5.7cm 그 다음에 삼등분 되는 점과 여기 옆선을 대각선으로 연결하시고요. 그 다음 얘도 마찬가지로 직각되는 선을 (자료화면) 그어주고 이 직각 선에서 1/2 되는 지점 0.3cm 이동해서 이 점 자를 대서 곡선이 만나는 부분은 지금 여기 삼등분 했던 것은 여기에 곡선의 모양을 정하기 위해서 삼등분을 했고 (왼쪽 예시) 자로 연결할 때는 여기 이등분 되는 점을 자가 지나야 되요 이 세 점을 지나는 점을 연결하도록 하겠습니다. 한번에 곡선이 안 그어지더라도 자를 이리저리 돌려가면서 곡선을 맞추시면 됩니다. (자료화면 및 효과음) 그러면 이제 앞 진동선이 나왔습니다. 이제 남은 건 유장 유폭을 사용할 때가 됐거든요. 자, 보시면 옆 목점에서 여기 바스트 포인트까지 온 길이 (왼쪽 예시) 이 길이가 유장입니다. 유폭은 바스트 포인트와 바스트 포인트 사이의 길이 (왼쪽 예시) 이 유폭을 적용할 건데요. 옆목에서 24cm가 내려옵니다. 24cm, 24cm 내려온 점을 임의의 선을 연하게 그어줍니다. 그 다음 아까 유폭 유폭이 18cm 거든요. 보통 그러면 유폭1/2이니까 9cm 이것도 대중적인 사이즈로 정해놓고 하시면 됩니다. 유장 유폭은 (왼쪽 예시) 9cm 되는 점에 바스트 포인트 그 다음 가슴 때문에 앞 쳐짐이라는 걸 해줘야 되는데 앞쳐짐 분량 2.5cm 그어주도록 하겠습니다. (자료화면) 다트를 그려줄 텐데요. 자, 보세요 지금 길이가 2.5cm 추가를 하면서 뒷판의 옆선 길이보다 앞판의 옆선 길이가 2.5cm 길어졌어요. 그럼 이 길이를 맞춰야 되니까 맞추기 위해서 다트를 그려주겠습니다. (왼쪽 예시) 이 선을 연장을 하고요. 아까 2.5cm 내려왔으니까 여기도 2.5cm 점을 찍고 얘랑 바스트 포인트로 (왼쪽 예시) 향해서 선을 그어줍니다. 그러면 이 부분이 이렇게 접히거나 봉제가 되거나 하면 길이가 이렇게 올라가서 옆선의 길이가 맞아지겠죠. 그 다음 허리다트 허리도 아까 여기에서 뒷판에서 1.5cm가 안으로 들어갔습니다. (오른쪽 예시) 1.5cm 안으로 넣고 그 다음 여기 다트는 바스트 포인트에서 내려옵니다. (왼쪽 예시) 바스트 포인트에서 직각 되는 선 내려주고 1.25cm, 1.25cm 해서 그어주시면 (자료화면) (화면전환) 이것으로서 완성이 됐습니다. (완성한 전지를 펼쳐보이며) 강사 조현심: 자, 지금 기초선을 제외하고 난 실질적으로 필요한 치수들만 제가 빨간 선으로 표시를 했거든요. 이런 치수들이 필요한 치수들이니까 이렇게 잘 오리셔가지고 예쁜 옷을 한번 만들어보시기 바랍니다. (배경음악) 강사 조현심: 자, 여러분 오늘 수업 어떠셨는지 잘 모르겠네요. 처음 하시는 분들은 용어도 생소하고 해서 조금 어렵게 느껴지실 수가 있으신데 한 두 번 정도 다시 돌려보시거나 한번 더 해보시면 어느 정도 따라가실 수 있는 정도가 되실거니까 포기 하지 마시고 처음부터 반복해서 꾸준히 들어보시면 꼭 나만의 옷을 만들 수 있는 시간이 되실거라 생각합니다. 앞의 영상을 보시고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던지 더 배워보고 싶으신 분들은 메이커 스테이션에 오시면 정성스럽게 준비해 놓은 수업과정들이 있으니까 한번 들어보시면 큰 도움이 되실거라 믿습니다. 다음 영상에서 다시 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화면전환)[자막: 왕초보를 위한 소잉메이커 1강 부산 유라시아 플랫폼 메이커 스테이션] [자막: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 부산광역시 (재)부산광역시도시재생지원센터]

[부산유라시아플랫폼 메이커스테이션]

왕초보를 위한 소잉메이커 1강

 

내손내만! 내 손으로 내가 만드는 홈패션! ~롱 베스트 만들기~

 

소잉 초보를 위한 강의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먼저 본을 뜬다고 하죠? 패턴을 만드는 방법을 알아볼까요?

 

옷 본, 옷 패턴은 옷을 만드는 가장 첫 번째 단계입니다.
사이즈를 재고 내 몸에 맞는 옷을 만들려면 지금부터 차근차근 제대로 해야겠네요!